RadarURL

2008.10.20 08:41

스탯 공략

조회 수 7187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40일쯤 전에 제 블로그에 써본 글인데..

게임팁이 좀 허전하길래.. 한번 올려봅뉘당 ㅋㅋㅋㅋㅋㅋㅋ




------------------------------------------------------------------------------------------------------------------------------------------------------------------------------------------






아스가르드는 이제 안하니까..

쓸만한게 없어서..

공략 쪼끔 써볼까 합니다 ㅋㅋㅋㅋ

다른 공략은 동영상이나 스샷같은게 필요할 수 있으니 귀찮아서..

일단 간단히 스탯공략...

 

나름 좋은 공략이니 아스에 관심이 많으신분은 한번 봐주시길 바래요..

괜찮으면 덧글로 칭찬좀.. ㅠㅠㅠㅠㅠㅠㅠㅠ

 

스크롤 압박 약간 있어요. ㅋㅋㅋ

 

 

아스가르드에 스탯은 5종류가 있죠.

힘 (STR). 덱 (DEX) . 콘(CON) . 인트(INT) . 위즈 (WIS).

 

힘은 무게와 대미지를 올려줍니다.

데미지를 올려주는데.. 이게 퍼센트로 오르는게 아니고 '절대량'에 가깝게 오릅니다.

여기서 절대량으로 오른다고 안하고 절대량에 가깝게 오른다고 한 이유는..

그래도 스킬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기 때문이랄까.

아스가르드에는 스킬의 기본대미지가 정해져있는데, 거기서 힘으로 데미지가 일정비율로 증가하는게 아니고

일정한 양이 추가되는 방식입니다.

저렙 기사들의 데미지를 통해 예를 한번 들어보겠습니다. 

덱기사의 노크리기준.. 어택 데미지는 100, 하보크 데미지는 600 이 나온다면

힘기사의 경우는 어택 150 하보크 900  이런식으로 나오는 게 아니고..

어택 300 하보크 900 이런식으로 나와버립니다.

왜 어택은 200추가고 하복은 300 추가냐.. 하신다면..

위에 스킬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다고 한게 이 부분을 말씀드린겁니다~

무게는 힘1당 무게3 아니면 힘 2당 무게 5 일거에요 (레벨당 무게는 2)

아 확인을 해바야 하는데 ㅋㅋㅋㅋ

전사,기사 에게는 다른직업에겐 없는 힘매리트가 있어요.

힘10당 무게5 ^^ 아주아주 보잘것없는 매리트죠..

아, 까먹을 뻔했군.. 프로핏에게도 힘에 매리트가 있습니다. 힘 8당 명중률 1 일 거에요.

(이 매리트때문에 덱프로핏이 거의 없는 것이구요.)

 

덱은 크리율과 회피율을 올려줍니다.

회피율은 정확히 검증하기가 힘들지만 그냥 막연히 오르긴 오르구요..

덱이 백몇십쯤 되면 힘에 비해서 눈에 띄게 잘 피합니다<< 특히 동던, 얼던같은곳에선 덱캐릭은 근접공격 엄청 안맞아요.

그러나 물리회피율만 오를 뿐, 마법엔 힘찍든 덱찍든 똑같이 쳐맞습니다.

도적에겐 다른직업에게 없는 덱스매리트가 있습니다. 덱스 10당 명중률 1..

그래서 5콘 100덱 / 5힘 100덱 / 15콘 90덱 이런게 유행하죠. 덱을 10의배수에 맞춰서 찍는 방식 ^^

고렙도적들은 100덱쪽을 선호하죠. 이카루스 사냥시절까진 다른직업보다 높은 명중률로 사냥하지만

그 명중률 그대로 만렙까지 사냥해야 하기 때문에..

얼던,동던,천상계(특히 게헨나) 까지 진출하고 나면 명중률이 전직업중 최악이 되거든요.

그래서 명중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100덱을 하죠.

크리율은 도적을 제외한 다른 직업 기준으로..

덱 60 을 0% 로 잡고, 덱 2당 1% 씩 오른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도적의 경우는 50-60% 가량 더 높다고 보시면 되구요..

(정확히 재본사람이 없어서 모르겠습니다만.. 도적은 덱이 140정도만 맞춰져도 거의 올크리에 가깝게 뜹니다.)

도적 제외하고는.. 덱60 까진 노스피릿,변신 기준으로.. 크리가 아예 안터진다고 보는게 맞구요.

덱 80엔 10% 덱 100엔 20% 덱 120엔 30% 덱 140엔 40% 덱 160엔 50% 이런 식이겠죠?

이것은 바스포 서버의 케로 님의 실험결과입니다 ^^

(반지로 덱을 맞춰서 허수아비를 수천대 때려서 얻은 결과)

크리가 터지면 다들 아시다시피 데미지가 2배구요..

그래서 크리는 그냥 데미지 퍼센트 증가 라고 봐도 됩니다.

덱 160 이면 크리율 50%면.. 그냥 누적데미지 50% 증가 라고 봐도 되는거죠.

 

덱은 60덱의 효과가 발휘되지 않는다는 점 때문에

돈이 많을수록 굉장히 강해지고, 돈이 없으면 굉장히 약해집니다.

(120덱의 경우는 60덱의 효과인 30%크리뎀을 받지만 160덱의 경우는 100덱의 효과인 50% 크리뎀을 받죠)

그래서 보통 격수들은 힘스탯으로 일정 레벨을 찍고 덱으로 전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덱스 스탯에도 공격력이 약간 있긴 있습니다.

덱스 100 증가했을때 데미지가 약 40 가량 증가했다는 실험이 있었습니다..

(물론 이것도 몹에 따라 다르긴 하겠는데.. 어쨋거나 눈꼽만큼 오르기는 한다는거.)

도적직업은 특별히 덱스에서 공격력을 다른직업보다 훨씬 많이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힘보다 많이 얻지는 못합니다.)

다른직업의 경우 올덱과 잡스탯의 데미지가 아주 크게 차이나지만(덱에서 공격력을 적게 얻으니까)

도적의 경우는 올덱과 잡스탯의 데미지차이가 다른직업보다 적은 편이죠. (덱에서 공격력을 많이 얻으니까)

그래서 도적은 잡스탯을 하려면 크리율 믿고 120덱 정도에서 힘을 올리지 마시구요..

덱 140 정도는 맞추고 힘 올리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이 정도 설명을 했으니.. 누적 데미지 비교를 한번 해보겠습니다.

힘 : 기본 대미지 1500 + 힘 대미지 1000                                                                           = 2500

덱 : (기본대미지 1500 + 힘 대미지 100) x 크리확률로 증가하는 대미지 60%                 = 2560

잡 : (기본 대미지 1500 + 힘 대미지 400) x 크리확률로 증가하는 대미지 40%               = 2660

 

*위 데미지는 실제 데미지가 아니고 제 머리속에서 대충 만들어본 데미지입니다. 실제론 저것과는 약간 달라요..

사실적이게 계산한거라.. 뭐 딱히 틀리진 않지만.... 아무래도 몹의 방어력을 고려하지 않은 계산이니까요.

천상계 언데드나 3차던전 몹의 방어력으로 계산하면 실제로는 힘쪽이 저거보다 데미지가 좀 더 안나온다고 보는게 맞아요.

물론 그 외에 보통 몹에선 힘이 저거보다 데미지가 더 잘 나올거구요. (변신,스피릿을 무시한 경우의 기준입니다)

스탯은힘의 경우는 170힘정도.. 덱은 10힘 180덱 정도.. 잡의 경우는 50힘 140덱 정도로 생각하고 써본거구여..

괴물스탯(힘덱합 220쯤 되는 분) 유저의 경우는 무조건 잡스탯이 좋습니다.

 힘의 경우는 덱이 아무짝에도 쓸모가 없기 때문에.. 모자,신발 등등에서 얻는 덱스탯 20정도를 낭비하는 셈이죠.

 

위 데미지표 비교해보시면.... 밑 쪽(잡스탯)이 가장 강하죠..

데미지 계산이 이런식으로 (기본뎀+힘)x덱 으로 계산이 되기 때문에 잡스탯이 강력한 것입니다.

쉽게 말하면 2 x 2 가 1 x 3 보다 쎈것과 같은 이치죠.

또한 잡스탯은 힘과 덱의 효과를 극대화해서 받기는 다는 점..

(데미지효율이 좋고, 버리는 스탯도 없죠.)

그리고 몹의 방어력이 높은 곳에서도, 낮은 곳에서도 전부 데미지를 뽑아낼수 있다는 점이 강점입니다.

쉽게 말하면 사냥터가 자유롭다는 것이죠. 어디서 사냥하든 고 데미지..

그리고 천상계 초반 언데드와 천상계 고레벨 던전에서는 힘대미지가 대폭 감소됩니다.

즉, 약한 몬스터에서 기본대미지 1500 + 힘 대미지 1000 나오던게

몹이 강력하면 가면 기본대미지 1500 + 힘 대미지 300 이렇게 나와버립니다.

그래서 위에 쓴 데미지에선 힘과 덱의 데미지가 비슷하지만..

몹이 강력할수록 힘의 데미지가 줄어든다는 점 알아두세요~

대신 지상계에서는 힘의 데미지가 온전히 발휘되기 때문에

슬로터하우스의 몬스터같은 경우는 힘의 데미지가 덱의 크리데미지처럼 떠버리기도 하죠.

 

※요점을 정리해보자면.

* 몹이 약할수록 힘이 좋고, 몹이 강할수록 덱이 좋다. 잡은 양쪽 다 좋다.

* 기본뎀(=SP소모량,렙제 등등)이 강한 스킬을 쓸 수록 덱이 좋고, 기본뎀이 약한 스킬을 쓸 수록 힘이 좋다.

 -라이트닝스피어, 익스터미네이션은 힘보단 덱이 데미지증가량이 더 클 것이다.

 -하보크쇼크, 휠윈드킥의 경우는 다른 99스킬과 비교했을때, 힘에 의한 증댐이 덱에 의한 증댐보다 크다.

* 힘,덱 합이 높은 유저일수록 좋은 선택은 1. 잡. 2. 덱. 3. 힘 이다.

* 전사,기사,도가의 힘덱 스탯 선택은 이렇게.

-힘,덱 합이 120 이하로 나오면 부디 힘쪽을 선택할 것. (천상계 위주로 하시는 분이라도 힘 선택 ㄱㄱ)

  그리고 힘의 효과가 매우 적은.. 방어력 높은 몹이 많은 사냥터를 가급적 피할 것.

-힘,덱 합이 120~150 정도면.. 사냥터, 스킬, 취향에 따라 스탯을 정하는게 좋다.

  Ex1> 게헨나 3~6층 사냥 위주라면 스탯을 덱으로 밀고 99스킬이나 51연계기로 사냥을 하는 것이 좋다.

  Ex2> 덱기인데 루미나 옷방에서 하루종일 하보크만 하는데 확장인벤 살 돈도 없고 옷 무게때매 죽겠다면..

          달팽이에게 회피할 수 있는 회피만 어느정도 된다면 힘기로 바꾸는 것도 나쁘지 않다.

          루미나 옷방에서 힘기와 덱기의 하보크 데미지차는 생각보다 크지 않다.

          옷 3~5개 먹고 계속 마을 왔다갔다 하는 것보다 꾸준히 사냥하는게 더 낫다.

-힘, 덱 합이 150~180 정도면.. 왠만하면 힘쪽은 안하는게 좋고, 덱이나 잡을 한다. 덱쪽 추천..

-힘, 덱 합이 180 이상이라면.. 천상계 3차던전 대쥴에서만 박혀있는 분이라면 덱에 몰아주는 것이 좋고,

                                                사냥터가 다양하고 이벤트나 배틀도 하는 분이라면 잡쪽이 좋을 것이다.

-잡스탯을 할 경우 겉보기에 강한 데미지를 원하면 120덱. 실속있는 데미지를 원하면 140~160덱을 선택!

 -기력포션 써서 풀로 변신하는 분의 경우는 덱을 약간 낮추고 힘을 올려주는 것도 괜찮다.

* 도적 스탯 선택은 이렇게.

-스탭을 쓸때엔 덱 120, 나머지 힘 정도가 좋다.

-포이즌스탭, 채찍질, 철채찍을 쓸땐 덱 140, 나머지 힘 정도가 좋다.

- 순수덱을 90이나 100에 맞추는게 좋다. (나머지는 콘이나 힘에 적절히 분배)

* 콘은 재량껏 찍는다.

 

 

콘 스탯은.. <순수 콘에 한해서> HP와 SP의 최대량과 회복량이 늘어납니다.

찍으면 바로 늘어나는게 아니고, 찍은 후 레벨업을 할때의 HP,SP 증가량이 늘어난다는 것이므로

저레벨때 찍을 수록 좋습니다.

그리고 100콘을 넘기면 독에 의한 데미지를 받지 않구요.

109콘이 회복량 최대로 받을수 있는걸로 알고 있긴 한데..

이것은 실험을 안해봐서 정확히 모르겠습니다. 어쨋거나 100콘정도 되야 회복량 최대라는거.

 

무도가의 경우는 콘에 다른직업에는 없는 매리트가 있는데요.

콘에서 타직업보다 공격력을 많이 얻을 수 있구요.

8콘당 방어력 1 (AC -1) 입니다. 그래서 무도가들은 8의 배수 콘을 맞추는게 유행인데요.

힘콘 도가의 경우 24,32,40 콘을 추천하구요.

덱의 경우는 힘과 달리 덱이 약간만 차이나도 사냥속도가 확 차이나기 때문에..

HP, SP의 부족함을 감수하고 저콘지향으로 가야 합니다. 8,16,24 콘중 하나로 하는게 좋습니다.

콘도가의 경우는.. 올콘 하는 사람이 많습니다만..

올콘은 무조건 비추천 입니다.

왜냐하면.. 예를 들어서 비유를 해보자면 ^^ 

3콘과 33콘의 차이는 거대하지만.. 72콘과 102콘의 차이는 거대하지 않거든요.

2레벨이 되었을때 찍은 콘은 97레벨업을 하는 동안 효과를 내지만

98렙때 찍은 콘은 1레벨 업하면 필요없어지거든요.

그래서 고레벨때는 콘보단 힘을 올리는게 효율적이구요.

무도가가 콘에서 공격력을 많이 받는다곤 하지만 힘보단 적게 받는게 사실이고..

즉 109콘이 넘어가면 더이상 콘을 올리는건 스탯 낭비라는 것이죠.

그래서 본인의 템에 따라.. 109콘을 딱 맞출정도의 콘만 찍는게 좋습니다.

(즉, 템으로 40콘정도를 받을 수 있다면.. 8의배수중 109를 넘길 수 있는.. 72콘만 찍는게 좋다는거죠.)

 

인트의 경우는.. 마법데미지를 올려주구요. (도적,무도가,바드의 원거리공격기술 데미지도 전부 오릅니다)

마법사에게는 인트10당 SAR 1 , 프로핏에게는.. 인트 몇당 MHIT 1 인데.. 까먹었습니다 -ㅂ-

(저는 아스가르드 작년이후로 자주 안해서.. 신직업에 해당되는 프로핏과 아수라는 잘 몰라요~)

법사의 경우는 2인트당 일정량의 추가데미지 입니다. ('일정량'이란게 정확히 얼마인지는 잘 모르구여.)

154인트 -> 155인트가 될땐 데미지가 안오르지만, 155->156 이 될땐 데미지가 올라요.

짝수인트에서 오르니까 짝수인트에 맞추면 좋겠죠?

짝수에 맞추는 것에 너무 많이 신경 쓸 필요는 없구요. 그냥 참고하시란 뜻에서 ㅋㅋㅋ

 

위즈는.. 콘과 비슷한데요. MP의 최대량과 회복량을 올려주거든요.

성직자의 경우는 10위즈당 마법방어력1 (-1 MC)의 매리트가 있습니다.

그래서 5콘 100위즈나  15콘 90 위즈 가 좋죠..

올위즈보다 콘 약간 있는게 업속도도 더 빠를거구요.

(여기서 올위즈로도 컨트롤 무리 없다고 반박하시는 분들..

 저도 올위즈로 문제없이 사냥할수 있습니다만, 피가 약간 넉넉하면 더 빠르고 안전하게 사냥할 수 있습니다.

 맞으면서도 그냥 무시하고 힐 난사해서 잡는 경우가 있으니까요. 루미나라면 더더욱 ^^ )

그리고 위즈에 대해서 사람들이 잘 모르는 부분이 있는데요..

위즈도 마법데미지를 올려줍니다.

인트의 경우 2당 '일정량'이 오른다고 했죠?

위즈의 경우는 그 '일정량'이 오르기 위해선 8이 필요합니다.

즉 8,16,24,32,40... 이 될때마다 인트2만큼의 효과씩을 얻는다는거죠.

이때문에 닐서클보다 매지션링이 더 좋은 것입니다.

(법사가 사냥에서 계속 두들겨맞는 것도 아닌데.. 12방보다 12위즈 40마나 가 더 좋죠)

성직자의 경우는 이와 반대입니다. 위즈2당 데미지가 오르고 인트8당 데미지가 오릅니다.

그런데 성직자의 경우는 공격마법의 데미지만 오를뿐, 힐의 데미지가 오르는게 아니기때문에..

인트 위즈에 큰 신경은 안쓰셔도 좋습니다.

 

이 위즈의 데미지에 대해 써둔게 실감이 안되신다면.. 실전활용하시기 편하도록 계산을 해보겠습니다.

 

매우매우 평범한 유저의 2차 봉해셋으로 생각해보겠습니다.

순위즈 3, 반지 12, 신발 4 (스펠러슈즈), 오브 9, 모자 4.

어.. 다 하면 딱 32 가 나오네요.. 아주 바람직한 경우죠.

위의 경우는 헷갈릴것도 없고 사실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죠....

 

그런데 91~95 렙 정도 되는 초보법사의 경우는 약간 다릅니다.

3인트 3위즈 명성모자와 4인트 에델모자의 경우 헷갈리실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명모의 경우 위즈가.. 각반4 신발4 모자3 오브7 (오러오브) 순위즈,반지 15 해서 33 이 나오고..

에델모자의 경우는 인트가 1 높은 대신 위즈가 30 이 나오죠.

근데 에델모자를 꼈을때 인트가 홀수로 나오고(예:133) 명모를 끼면 짝수가 나온다? (예:132)

명성모 : 132 인트 33 위즈

에델모 : 133 인트 30 위즈

이럴 경우는 인트4 에델모자보다 인트3위즈3 명모가 더 쎄다는 거죠.

33위즈는 30위즈보다 데미지가 한단계 높지만, 133인트는 132인트와 데미지가 같으니까요.

 

이걸 보는 초보법사분이 이해하실라나 모르겠군요.. 최대한 쉽게 이해하실 수 있도록 썼습니다만..

사실 저런거 계산하는 사람 별로 없고 그냥 귀찮으시면 닥치고 반지인트만 올리면 되긴 합니다.

어쨋거나 저 위에 쓴대로 활용이 가능한 지식이라는거.. 참고하시길 바래요.

 

휴 다 썼는데..

뭔가 부족하다는 느낌 ㅋㅋㅋㅋ

가능한 한 짧게 쓰려고 노력하느라 빼먹은것도 쫌 있고..

힘,덱관련 글 쓸때 증댐과 변신을 어느정도 무시하고 썼다는 점도 맘에 걸리네요...

 

뭐 어쨋든 ㅋㅋㅋㅋ 내가 쓴건데 다시 읽어봐도 괜찮은 공략이군..

나중에 생각하면 더 좋게 수정하겠습니당 ^-^

즐아하세여!! ㅋㅋㅋㅋㅋㅋㅋ




사진 및 파일 첨부

여기에 파일을 끌어 놓거나 왼쪽의 버튼을 클릭하세요.

파일 용량 제한 : 0MB (허용 확장자 : *.*)

0개 첨부 됨 ( / )
  • ?
    양파맛쿠키 2008.10.20 21:50
    길다......길어...-ㅁ-;;;
    끝까지 노콘 120덱 올힘 가는거다...ㅡ.ㅡㅋㅋ
  • profile
    재수마법사남 2008.10.21 07:44
    흠 역시 아까운 머리다.. 이 머리로 다시 공부 ㄱㄱ..
    열심히 하는 사람은 즐기는 사람을 못따라 간다는...
    암튼 열심히 일하고 어서 복귀하길~
  • ?
    용이 2009.01.05 09:53
    퍼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아스가르드 집중탐구 게시판 입니다. 재수마법사남 2010.07.04 5000
16 서버별 500등까지 랭킹변화를 봐라 이게 아스가르드의 현주소 재수마법사남 2011.10.21 4325
15 화신강림 후 도적 전능 및 권능 대미지 재수마법사남 2011.08.29 4051
14 화신강림 인첸트 확률 분석 재수마법사남 2011.08.29 3858
13 업데이트를 기다리는 유저들 재수마법사남 2011.05.25 4140
12 2011년 5월 19일 : 아스가르드 홍콩시장 오픈 재수마법사남 2011.05.25 4796
11 아이트라를 기다리다가 지쳐 떠나간 만렙 유저들 file 재수마법사남 2011.05.25 4538
10 120에 4차변신을 해낸 그들이 본 100레벨 이상의 스킬/스펠 재수마법사남 2011.02.12 4744
9 아스가르드팀에게 묻는다(6차질의+답변) - ICA넥스그린 재수마법사남 2010.12.07 5245
8 아스가르드팀에게 묻는다(5차질의+답변) - ICA넥스그린 재수마법사남 2010.12.07 5036
7 아스가르드팀에게 묻는다 (4차질의+답변) - ICA넥스그린 4 재수마법사남 2010.12.07 5371
6 아스가르드팀에게 묻는다(3차질의+답변) - ICA넥스그린 재수마법사남 2010.12.07 4948
5 아스가르드팀에게 묻는다 (2차질의+답변) - ICA넥스그린 재수마법사남 2010.12.07 4888
4 아스가르드팀에게 묻는다 (1차 질의+답변) - ICA넥스그린 재수마법사남 2010.12.07 5127
3 아스가르드팀에게 묻는다 (2010.09.03~09.11) 조합본 file 재수마법사남 2010.09.13 5012
2 아스가르드팀에게 묻는다 (2010.08.26~09.03) 조합본 file 재수마법사남 2010.09.13 5501
» 스탯 공략 3 미르가르온 2008.10.20 7187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